본문 바로가기

퍼블리싱

(6)
HTML 블록(block)과 인라인(inline) 💡: 블록요소(block element)와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의 가장 큰 차이는 요소들을(elements)을 어떻게 쌓아가는가에 대한 차이다. [ block 요소 ] : 블록처럼 아래로 쌓는 특징 한 줄에 하나만 포함할 수 있음 = 기본 너비값: 100% (폼 엘리먼트 제외) 너비값, 높이값 (width, height) 가질 수 있음. 상하좌우 모든 마진 가질 수 있음 구분 태그 종류 설명 block 문서나 글의 저자 또는 회사와 연락할 수 있는 정보를 명시할 때 사용 해당 문서나 페이지 또는 사이트와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요소를 정의할 때 사용 페이지의 다른 콘텐츠들과 약간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해당 콘텐츠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된 페이지 영역을 ..
HTML 자주 사용되는 태그 정리 💡www.advancedwebranking.com 웹페이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태그들의 평균을 낸 사이트, 태그 말고도 여러 가지 정보들이 있어 참고하기 좋다. ▪️ : 웹페이지의 시작과 끝 웹페이지는 로 시작해서 로 끝이난다. 은 문서 유형을 지정하는 것. 웹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ex) : 이 페이지를 html로 해석해줘! ▪️ : 웹 페이지의 정보, 문서에서 사용할 외부 파일들을 링크할 때 사용 , , 등이 들어간다. ▪️ : 브라우저에 실제 표시되는 내용들을 담는곳 ▪️ : 문서 제목 안의 내용이 웹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에 표시된다. 페이지를 방문하는 방문자나 검색엔진은 제목 표시줄의 제목을 보고 내용을 예측하기 때문에 잘 써야 한다. ▪️ : 문자 인코딩 및 문서 ..
!DOCTYPE이란? 💡 HTML에서 doctype은 모든 문서의 최상단에서 찾을 수 있는 필수 서문이다. !DOCTYPE이란? document type의 약어로,웹 문서가 어떤 형식으로 작성 되었는지 문서 형식을 선언하는 것이다. !DOCTYPE을 쓰지않을 경우 어떻게 되는가? 웹 브라우저는 문서 형식 선언이 없으면 쿼크 모드로 렌더링 해서 각 브라우저마다 다른 형태의 결과물을 보여준다.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서 형식 선언을 하며 이로 인해 HTML 문서를 표준모드로 렌더링 할 수 있게된다. 쿼크 모드(Quirks mode)? 오래된 웹 브라우저를 위해 디자인된 웹 페이지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표준모드를 대신하여 쓰이는 렌더링 모드. 오래된 웹 페이지들이 최신 버전의 브라우저에서 깨져보이지 않으려는 목적이다. 표준..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상대경로 ./ (주변) ../ (상위폴더) 절대 경로 http(원격,서버) /(root(최상위경로))
웹표준, 크로스브라우징, 웹 접근성 웹 표준 웹 표준(Web Standard)이란 ‘웹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 W3C의 표준화 제정 단계의 ‘권고안(REC)’에 해당하는 기술. 크로스브라우징 조금 다르게 구동되는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같은화면, 같은 동작)을 줄 수 있도록 제작하는 기술 방법 웹 접근성 고령자, 장애인 같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제한이 있는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이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웹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차이 퍼블리셔 웹사이트 제작할 때 웹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것을 웹 표준성과 접근성에 부합하도록 재정리하는 사람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로 주로 HTML과 CSS중심의 업무를 담당 최근들어 js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루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음 프론트엔드 더 동적인 화면을 구사함(예: id나 pw입력했을때 유효한지 확인) 실제 작동 가능한 웹페이지를 구현 (API를 웹페이지 적용하고 백엔드와 연동되게 구현) 크로스브라우징, 웹페이지 호환성, 페이지의 개선등을 담당업무로 함. (퍼블리싱하는것에 나아가 웹사이트 전반에 대해 관리하고 유지보수 하는 일까지 담당)